본문 바로가기
Study

[금융상식]신용점수 NICE와 KCB의 차이점과 특징

by 이백순이 2024. 3. 10.
반응형

신용점수 NICE KCB의 차이점과 특징

 

반응형

 

 

안녕하세요

💗이백순이입니다💗

 

오늘은

신용점수 NICE(나이스지키미) KCB(올크레딧) 차이점과 특징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

 

왜 은행 앱 같은 곳에서 

신용점수 조회를 해보잖아요?

 

그럼 신용점수 관련해서 두 가지 회사의 점수가 각각 나올 겁니다

바로

 NICE KCB입니다!

 

이백순이는 왜 두 기관의 점수가 다를까

항상 궁금했는데요 

이번 기회에 한 번 알아보았습니다😊

 

그렇다면

먼저 신용점수란 무엇을 뜻할까요?

 

신용점수제라고 하는데요

 

개인의 신용을 평가할 때 1~1000점까지의 점수를 부여하는 제도로, 신용등급제에서 나타나는 문턱 문제를 해소할 수 있어 도입이 추진됐다. 그리고 2021년 1월 1일부터 은행은 물론 저축은행과 보험, 신용카드사, 금융 투자회사 등 전 금융권에 신용점수제가 전면 시행된다

 

 네이버 지식백과 - 신용점수제

 

예전에는 신용등급이었죠?

요즘은 신용점수로 금융 등급을 평가하고 있네요

 

그러면 신용을 평가하는 항목은 무엇이 있을까요?

 

앞으로 나올 내용은 카카오뱅크 <금융위키> 시리즈의 필수 경제 상식에서 공부하고 인용했습니다

참고해 주세요💕 

 

카카오뱅크 - <금융위키> 시리즈 "필수 경제 상식"

 

신용을 평가하는 항목은 크게 네 가지입니다

 

 

상환이력현재 연체 및 과거 채무 상환 이력 👉 빚을 잘 갚아 왔는지

부채 수준채무 부담 정보 (대출 및 보증채무 등) 👉 지금 빚이 얼마나 있는지

신용 거래 기간신용 거래 기간 (최초/최근 개설로부터 기간) 👉 언제부터 신용카드나 대출을 이용했는지

신용 거래 형태신용 거래 패턴 (체크/신용카드 이용 정보) 👉 어떤 대출 상품을 써 왔는지

 

 

바로 여기서 NICEKCB의 신용점수가 다르게 책정되는 겁니다😚

각 항목의 가중치가 회사마다 다르거든요!

 

그럼 비율도 한 번 알아볼까요?

(일반 고객 기준입니다)

 

NICE(나이스지키미)

 

KCB(올크레딧)



결론은

NICE 상환 이력의 가중치가 가장 높기 때문에

대출을 했을 경우, 상환하는 능력을 많이 보고요

아까 말씀드렸듯이 연체 없이 빚을 잘 갚아왔는지가 중요합니다😉

 

KCB 신용거래 형태의 가중치가 가장 높기 때문에

체크카드나 신용카드의 사용 패턴이 중요한데요

특히 신용카드의 카드론이나 현금서비스를 자주 사용하면 점수가 낮게 나옵니다😓

 

여기까지 포스팅 끝까지 봐주셔서 감사합니다💕

 

그럼

안녕히 계세요😜

반응형
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