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Study

[맞춤법]이용과 사용의 차이점과 뜻

by 이백순이 2024. 3. 10.
반응형

이용 사용

 

이용 사용의 차이점과 뜻

 

반응형

 

 
* 포스팅은 네이버 국어사전에서 찾아보고 공부한 것을 바탕으로 하였습니다.
 
안녕하세요
💗이백순이입니다💗

 

 
어느 날 글을 쓰는 데 이용 사용이 너무 헷갈리더라고요
그래서 두 단어의 차이점과 뜻을 한 번 공부해서 정리했습니다
같이 알아보아요😎
 

 

 
 
질문
'학생들은 정문을 ( ) 하지 마라.'여기에 '이용'과 '사용'을 모두 쓸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.
 
답변
'이용(利用)'과 '사용使用)'의 원어가 나타내는 뜻을 고려하면, 무엇을 하기 위해 정문을 쓰지 말라는 뜻이 아닌, 정문을 통로로 쓰지 말라는 뜻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'사용'보다는 '이용'을 쓰는 것이 더 자연스럽다고 봅니다.
 
👉 이 문장의 경우에는 "학생들은 정문을 이용하지 마라"가 맞는 답변이네요
 
 
하지만 이백순이는 답변을 보아도 아직도 헷갈리는데요
그럼 이용과 사용이라는 단어의 원어가 나타내는 뜻을 알아봅시다💛
 
 
 
 
 
이용하다: '대상을 필요에 따라 이롭게 쓰다.'라는 뜻을 나타냅니다
👉 문맥에서 '이롭게'라는 의미를 포함한, '이롭게 쓰다', '다른 사람이나 대상을 자신의 이익을 채우기 위한 방편으로 쓰다'라는 뜻일 경우에는 '이용하다'를 씁니다
 
사용하다: '일정한 목적이나 기능에 맞게 쓰다.'라는 뜻을 나타냅니다
👉 '쓰다'라는 의미가 주되게 나타나는 경우가 이에 해당하는데 '정한 목적이나 기능에 맞게 쓰다', '사람을 다루어 이용하다'라는 뜻이 포함되어 있으면 '사용하다'를 쓰는 것이 적절합니다
 
 
 
 
 
그럼 예시를 통해 더 정확하게 알아볼까요?
 
지하철을 이용하다 vs 지하철을 사용하다
👉 지하철을 이용하다가 맞는 표현이겠죠😉 
왜냐하면 지하철은 자신의 필요에 의해서 타는 교통수단 중 하나의 방편이니까요
 
어른에게 존댓말을 사용하다 vs 어른에게 존댓말을 이용하다
👉 어른에게 존댓말을 사용하다가 맞는 표현입니다💓
왜냐하면 존댓말은 자기보다 높은 분께 쓰는 말로써 그 기능을 맞게 '사용'하는 거니까요
 
 
이용과 사용을 같이 쓰는 예외의 경우도 있습니다
인간은 예로부터 도구를 사용해 왔다 / 인간은 예로부터 도구를 이용해 왔다
👉 도구라는 것은 편의에 따라 이용할 수도 있고, 기능에 맞게 사용할 수도 있죠😏
 
 
 
 
 
포스팅 끝까지 봐주셔서 감사합니다💕
 
 
 
 
그럼
안녕히 계세요😌
반응형

댓글